Moodle
보기
문서
토론
내용 보기
역사
Professor Ho's Wiki Site
Admin
(
토론
|
기여
)
사용자의 2011년 1월 17일 (월) 04:22 버전
(비교) ← 이전 판 | 현재 판 (비교) | 다음 판 → (비교)
이동:
둘러보기
,
찾기
Moodle & LMS
Expand
-
Collapse
Moodle & LMS
About Me
공주대학교
대전시 유성구 도룡동
wonho@kongju.ac.kr
wonyho@gmail.com
anent-iaea.org > Anent > Index
e-Learning Trend
오픈 소스의 바람
Wikinomics
1.Openness
폐쇄적인 것이 경쟁력 인가?
개방적
외부 인재 집단에게 문호 개방
아웃소싱이 경쟁력 향상
개방형 소프트웨어 플랫폼의 출현
2.Peering
3.Sharing
지식에 대한 새로운 경제학
지식의 독점 (특허권)
새로운 가치의 창출은 공유로 가능
공유와 보호는 칼의 양날과 같음
4.Acting Globally
글로벌하게 생각하기
글로벌하게 행동하기
세계화의 정의
물리적, 지역적 경계가 없는 회사
제품의 개발, 생산 , 공급, 유통의 과정이 자연스럽게 세계적으로 연결 운영
웹 2.0
플랫폼으로서의 웹
집단지성(collective intelligence)의 이용
데이터는 차세대의 핵심 경쟁력.
소프트웨어 릴리즈 주기의 종말
가벼운(Lightweight) 프로그래밍 모델
단일 디바이스를 넘어선 소프트웨어
풍부한 사용자 경험을 할 수 있도록 제공
구성 주의
모든 지식은 구성되며, 학습은 구성의 과정임
많은 세계관이 구성될 수 있으며, 다양한 관점들이 존재 가능
지식은 맥락 의존적이기 때문에 학습은 적절한 맥락 안에서 발생해야함
학습은 도구와 사인에 의해 매개됨
학습은 사회적-대화적 활동임
학습자는 사회문화적 과정 안에서 분산되며 다차원적인 참여자임
어떻게 알아야 할 것인지를 안다는 것이 궁극적인 인간의 일임
오픈소스 프로그램 (솔루션)
LINUX
Desktop
Open Office
FireFox
Inkscape
Gimp
Audacity
winMerge
reLoad
Octave
Freemind
오픈소스 LMS
Moodle
dotLRN
SAKAI
오픈 콘텐츠
정보 공유의 시대
Open Education Resource
교수, 학습, 연구 자료들이 공익적 차원에서 공적인 차원에서 다른 사람에 의해서 재활용이 가능해야함
Open Access
개별 대학의 교수들의 저작물의 인터넷 공개운동
하버드, 예일 등이 참여
Open MIT
YouTube EDU
Universities.com
Academic Earth
Wikiversity
Curriki
Internet2
Wikimedia Foundation
Merlot
오픈 서비스
오픈소스의 활용과 활성화 가능성
현황
Moodle 사용자 커뮤니티
http://www.moodle.or.kr
http://moodle.co.kr
Moodle 2.0의 출현
KAIST 활용중
세종대학교 CTL
이화여대 CTL
OO 대학교 검토중
삼성....
위험성
너무 많은 커스터마이징
본질의 훼손
오픈소스는 무료?
free의 의미
Freedom
Beer
소프트웨어의 보따리 장사들
이러닝 표준
이러닝 프레임 워크의 반영
LDAP
웹서비스
시험모듈
SCORM 활용의 고도화, 자동화
학습자 통보, 관리
교수자 통보
Learning Design 의 수용
콘텐츠중심에서 활동중심으로
활동 중심 설계
게시판, 포럼
과제 활동
채팅
워크숍
기타 모듈의 연계
메신저
화상통신
OpenAPI 활용
문제출제: QTI
MOODLE vs ???
Moodle as LEGO
훔볼트 대학 교육공학자의 Moodle 효과
Sakai 무들 비교
Sakai 무들 비교(PT)
Moodle 블랙보드 비교
인터넷에 why moodle blackboard 라고 치면?
moodle(1).html
moodle(2).html
moodle(3).html
moodleMultiLang.html
moodle Smart Phone Service
Design Your Knowledge
마인드맵
▷ 커다란 종이를 가로로 놓는다.
▷ 애용하는 잘 써지는 펜을 준비한다.
▷ 종이 한 가운데에 주제를 적는다.
▷ 주제에 떠오르는 것, 그 주제를 분해할 때 나오는 요소,
하위 주제를 이루는 단어를 주변에 적는다.
▷ 주변의 하위 주제들은 중심에 놓인 주제와 선으로 연결한다.
▷ 하위 주제를 더욱 분해, 확장시켜 선으로 연결한다.
▷ 모든 주제에 하고 싶은 말을 덧붙인다.
▷ 주제의 확장과 전개가 한 장의 종이 위에 이루어지도록 한다.
CollabMindMap.html
moodle.modulestudy.com > Mod > Collab > View ? ...
로컬 자바스크립트로 보기
로컬 플래시로 보기
Virtual Learning
Open Sim + 증강현실
Second Life -> Open Sim
promo2.avi
1st_elearning_conference_Moodle_01.avi
LMS+VL Service
Mash up
SNS Integration
twitter block.avi
Intelligent Tutoring System
Reporting
CMIInteraction.html
SCormQUIZ.html
횟수분석.xlt
접속회수비교.xlsx
문자 및 화상회의 서비스
smsNmeeting.html
PPT 변환 <DUNET컨설팅.ppt>
Further Idea
SNS&LMS Integration
Second Life
Group Coding
OKMM: 40명 협업데모
Netbeans Collab 데모
EDIBLE OS
Collaboration
위키
복합지식
복합지식 기반의 이러닝 프레임워크의 개발
마인드맵을 학습 방식으로 웹기반에서 활용하도록 함
개요
일반적 텍스트 기술
마인드맵(원형)
마인드맵(레퍼런스)
마인드맵(Color, 이미지)
마인드맵(웹 링크)
마인드맵노드와 웹 활동 연결
게시판
위키, 블로그
퀴즈
우뇌적, 시각적, 창의적 사고 가능
내용정리 (50%이상), 이해(90% 이상), 복습(90% 이상) 절약)
작업영역 분할을 통한 협력 가능
블로그
웹 2.0
Evaluation
학습 활동
시험
Reporting
Feedback
ITS
Interaction
학습자간
교수 학습자간
콘텐츠 학습자간
Feedback: 학습 활동에 대한 개인적 맞춤학습 멘토링 기능 구현 기능
맞춤학습
멘토링
학습 활동 단위
Implementation
방식의 구체화
설계의 구체화
평가의 구체화
학교단위, 교사 단위의 LMS 지원 기능
통계 관리 지표의 표준화 관리 기능
부하 증가에 대한 효율적 대비 기능
Clustering, Virtualization
Grid computing
다양한 수업 모델의 수용
강의실 = 커뮤니티
권한과 인증 (학부모)
활동의 모듈화
교사 직무 연수 지원
교수 방식의 변화 (교실수업의 인터넷활용)
경쟁 학습
퀴즈 풀이
게임 진행 (Second Life, Open Sim)
오픈소스 LMS 의 커스터마이징 활용
한국형 LMS 개발
오픈소스 도구의 활용: 마인드 맵 등
쉽게 설치되고 운영
이러닝 프레임 워크의 반영
LDAP
웹서비스
시험모듈
SCORM 활용의 고도화, 자동화
학습자 통보, 관리
교수자 통보
Learning Design 의 수용
콘텐츠중심-> 활동중심
활동 중심 설계
게시판, 포럼
과제 활동
채팅
워크숍
기타 모듈의 연계
메신저
화상통신
OpenAPI 활용
문제출제: QTI
이러닝 품질인증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임의 문서로
페이지 바로가기
SCORM 이란
LMS 고르는 법
Moodle
QTI 정보
Semantic Web
Opensource 정보
MindMap
Contents 개발법
eLearning 품질관리
eLearning 정보
eLearning Newsletter
운영자 소개
지노테크 홈피
English
OKmindmap
콘텐츠
전기기기
전기기기실험
Python
수업자료
찾기
도구모음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바뀜
특수 문서 목록
인쇄용 문서
고유링크
Browse properties
개인 도구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