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 직류 전동기 I
1. 실습목적
- 직류 전동기/발전기의 구조 관찰.
- 권선 저항 측정.
- 각 권선의 공칭 전류 용량 고찰.
2. 개 요
직류 전동기는 다른 전동기보다 속도 조절이나 높은 토크를 제공하는데 그 성능이 탁월하다. 직류 전동기는 고정자와 회전자를 포함하는데 회전자에는 전류가 흐르는 도체 부분이 존재하며 이를 전기자라고 하고, 고정자는 자계를 발생하는 역할을 하므로 계자라고 불린다.
고정자는 각 극(Pole)당 1 개 이상의 권선을 갖고 있으며, 이들은 직류전류를 운송하도록 설계되어 자계(Magnetic field)를 형성하게 된다. 전기자와 그 권선은 계자에서 발생한 자계의 경로에 설치되며, 권선이 전류가 흐를 때 토크가 발생하여 전동기가 회전한다. 전기자 권선과 같이 있는 정류자는 기계적 장치로서 특정한 공간상에 위치할 때 전기자의 전류를 항상 같은 방향으로 흐르게 한다. 만일 정류자가 없다면 전기자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이 특정 공간에서 일정한 방향으로 지속적으로 유지되지 않으므로 전동기가 회전하지 않게 된다.
3. 준 비 물
- 직류 전동기/발전기 EMS 8211
- 전원공급장치 (0-120Vdc) EMS 8821
- 직류전압전류계(20/200V,500mA,2.5A) EMS 8412
- 리드선 EMS 8941
4. 실 습
- 1. 전동기, 가변 저항기, 결선 단자, 결선 등에 주목하며, 직류 전동기/발전기 EMS 8211 의 구조를 살핀다. 내부 구조의 관찰이 가능하도록 특수하게 제작되었다.
- 2. 모듈의 후면에서 전동기를 볼 때
- a) 전기자 권선을 찾는다.
- b) 고정자 극을 찾는다.
- c) 몇 개의 고정자 극이 있는가?
- d) 분권계자권선(작은 지름)을 찾는다.
- e) 직권계자 권선(큰 지름)을 찾는다.
- 3. 모듈의 정면에서 전동기를 볼 때
- a) 정류자를 찾는다.
- b) 대략 몇 개의 정류자 막대(bar)가 있는가?
- c) 몇 개의 브러시가 있는가?
- d) 브러시의 중립 위치는 전동기 몸체에 적색 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 f) 브러시는 브러시 조정 레버를 적색 선의 우측 또는 좌측으로 이동시키므로 써 정류자에 위치되어질 수 있다.
- 4. 모듈의 표면 판을 볼 때
- a) 분권계자권선은 단자____와____으로 연결된다.
- b) 직권계자 권선은 단자____와____으로 연결된다.
- c) 각 권선의 전류 정격은 모듈의 표면에 표시되어 있다. 이 사실만으로 a) 와 b)를 답하여라.
- d) 브러시(정류자 편간(segment)과 전기자 권선)는 단자____와____으로 연결된다.
- 5. 분권계자 전류의 조절을 위하여 모듈 표면에 가변 저항기가 장착되어 있다.
- a) 가변 저항기는 단자____과____으로 연결된다.
- b) 정격 저항 값은?
- 6. 전압계-전류계를 사용하여 전동기 권선의 각 저항들을 측정한다.
- a) 값을 이용하여 각 권선의 전력 손실을 계산한다.
- b) 전원공급장치,직류전압전류계,직류전동기/발전기를 그림 1-1 과 같이 연결한다.
Fig. 1-1
- 7. 전원 공급 장치를 켠다.
- a) #0-500mAdc 메타상에 분권계자권선이 0.3A 가 될 때까지 dc 전압을 서서히 증가시킨다.(이것은 분권계자권선의 공칭 전류 값이다.)
- b) 분권계자권선간의 전압을 측정, 기록한다.
E(분권계자) =____Vdc
- c) 전압을 0으로 돌린 후 전원을 끈다.
- d) 분권계자권선의 저항을 계산한다.
R(분권계자) =
= ____/____ = ____Ω
- e) 분권계자권선의 전력 손실 I2R을 계산한다.
- P(분권계자) = I2R = ____ ×____= ____ W
- 8. 그림 1-2 와 같이 연결한다.
Fig. 1-2
- a) 전원을 켠다. 5Adc 메타상에 직권계자 권선이 3A 가 될 때까지 dc 전압을 서서히 증가시킨다.(이것은 직권계자 권선의 공칭 전류 값이다.)
- b) 직권계자 권선간의 전압을 측정, 기록한다.
E (직권계자) =____Vdc
- c) 전압을 0 으로 돌린 후 전원을 끈다.
- d) 직권계자 권선의 저항을 계산한다.
R(직권계자) =
=____/____=____Ω
- e) 직권계자 권선의 전력 손실 I2R을 계산한다.
P(직권계자) = I2R =____ ×____= ____ W
- 9. 그림 1-3 과 같이 연결한다.
Fig. 1-3
- a) 전원을 켠다. 5Adc 메타상에 전기자 권선이 2A 가 될 때까지 dc 전압을 서서히 증가시킨다.(이것은 전기자권선의 공칭전류 값이다.)
- b) 전기자 권선간의 전압을 측정, 기록한다.
E(전기자) =____Vdc
- c) 전압을 0으로 돌린 후 전원을 끈다.
- d) 전기자 권선(브러쉬 포함)의 저항을 계산한다.
R(전기자) =
=____/____ =____ Ω
- e) 전기자(브러쉬 포함)의 전력 손실 I2R을 계산한다.
P(전기자) = I2R = ____/____ = ____W
- 10. 전기자 권선을 좌측으로 약 90o 회전시킨다.
- a) 브러쉬는 서로 다른 정류자 편간들과 접촉한다.
- b) 실습 9 을 반복한다.
- c) E =____Vdc, R =____ Ω, P =____W
5. 실습평가
- 1. 만일 분권계자권선이 120Vdc에 의해 여자 된다면 전동기의 분권 계자 전류는?
- 2. 만일 전동기의 직권계자권선에 3Adc 의 전류가 흐른다면 그 결과 떨어지는 전압 값은?
- 3. 만일 가변 저항기가 분권계자권선 및 선간 전압 120Vdc 와 직렬 연결되어 있다면, 전동기로부터 얻을 수 있는 분권계자전류 변화(variations)는? I최소 = ____Adc I최대 = ____Adc
- 4. 모든 권선들, 심지어는 전동기의 정류자 조차도 구리로 만들어진다. 그 이유는?
- 5. 전동기의 브러쉬가 구리 대신에 탄소(카본)로 만들어지는 이유는?
- 6. 만일 전동기의 직권계자권선이 120Vdc 전원에서 직접 연결된다면
- a) 어떤 전류가 흐를 것인가?
- b) 전력 손실 (와트)는?
- c) 전력 손실은 모두 열로 바뀌겠는가?
- d) 만일 전류가 수분 동안 정지(sustain)된다면, 권선에는 어떤 변화가 초래될까?
- 7. 공칭전류 또는 공칭전압의 의미는?
- 8. 만일 전동기의 전기자권선과 직권계자권선이 120Vdc 전원에서 직렬로 연결된다면, 시동 전류는?
- 9. (브러쉬를 포함한) 전기자 저항은 실질적으로 전기자의 모든 회전 위치에서 같은가?